
(농진청=전북경제) 이상선 기자 = 농촌진흥청과 강원대가 세계 최초로 인공지능(AI) 기반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 '비전(BeeSion)'을 개발했다.
이 장치는 꿀벌의 주요 해충인 꿀벌응애를 30초 안에 포착해 방제할 수 있어, 전 세계적으로 심각한 꿀벌 폐사 문제를 해결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 서식해 눈으로 발견하기 어려운 해충으로, 벌집 내 기생해 꿀벌의 발육에 피해를 주거나 바이러스를 전파해 폐사를 유발한다.
이번에 개발된 비전 장치는 꿀벌응애뿐만 아니라 병든 꿀벌, 기형 꿀벌 등 총 16개의 항목을 자동으로 분석해 방제 권고, 주의단계, 집중방제 등 과학적 기준을 제시한다.
꿀벌응애 분석 정확도는 97.8%에 달하며, 간단한 설계로 고령자나 초보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다. 이 장치를 활용하면 양봉 현장에서 꿀벌응애 및 병해충 발생과 꿀벌 이상 징후를 조기에 발견해 꿀벌의 폐사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비전 장치는 벌통 150개 규모의 양봉장에 적용할 경우 연간 약 860만원의 수익 증가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보이며, 노동력 부족 및 약제 오남용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농진청은 올해 장치의 특허 출원을 마쳤으며, 산업체에 기술을 이전해 제품 생산을 시작할 예정이다. 이후 2028년부터 전국 양봉농가에 본격 보급할 계획이다.
방혜선 농진청 농업생물부장은 "이번 성과는 경험에 의존하던 양봉에 데이터와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한 첫 사례로, 정밀 사양관리와 병해충 예찰 자동화의 전환점이 될 것이다"라며 "디지털 기반의 선제적 예찰 체계를 고도화해 꿀벌을 지키고 양봉산업 경쟁력을 높이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