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4 (일)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후원하기

경제

집에서 쉬는 청년증가...5년간 경제손실 44조원

(경제이슈=전북경제) 이상선 기자 = 고학력 청년 '쉬었음' 증가, 경제적 비용 상승

최근 5년간 구직 활동을 하지 않는 이른바 '쉬었음' 청년 증가로 인한 경제적 비용이 44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추정됐다. 단순한 청년 실업 문제를 넘어 고학력 인력의 비경제활동화가 장기적 성장잠재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고학력 청년 비경제활동 증가

한국경제인협회가 창원대 이미숙 교수에게 의뢰한 보고서에 따르면, 2019~2023년 '쉬었음' 청년으로 발생한 경제적 비용은 44조4991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해당 청년들이 노동시장에 참여했다면 창출했을 잠재 소득을 기준으로 산출한 금액이다.

특히, 고학력 청년의 ‘쉬었음’ 비중이 2019년 36.8%에서 2023년 38.3%로 높아졌다. 보고서는 “소득 잠재력이 큰 인력이 장기간 노동시장에 편입되지 못하면서 사회 전체의 기회비용이 급격히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경제적 비용 확대 추세

'쉬었음' 청년들의 월 임금 추정치는 취업 청년의 약 80% 수준으로, 2019년 155만원에서 2023년 179만원으로 늘었다. 이에 따라 경제적 비용도 같은 기간 7조4140억원에서 9조5969억 원으로 증가했다. 이는 청년 비경제활동 증가가 단순한 개인 문제를 넘어 국가적 자원 손실로 직결됨을 보여준다.

 

정책적 해법...맞춤형 지원·고용 창출

보고서는 교육 수준별 맞춤형 지원, 조기 발굴 및 정보 제공, 심리·회복 프로그램 등 다층적 접근을 제안했다. ‘무기력 극복 프로그램’, ‘청년 회복형 근로장학제도’, ‘생활·진로 동행 매니저 제도’ 등이 대표적이다.

 

구조적 과제

전문가들은 청년 고용 문제를 단순히 일자리 숫자의 부족이 아니라 ‘질적 미스매치’로 본다. 청년층이 선호하는 안정적·전문직 일자리는 정체된 반면, 비선호 직종은 공급 과잉으로 이어지며 괴리가 심화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단기 처방을 넘어 산업구조 개편, 노동시장 유연화, 교육-고용 연계 강화가 중장기 해법으로 제시된다.

 

■ 제보하기
▷ 이메일 : bmw1972@jjilnews.kr
▷ 카카오톡 : 'rototl56제보' 검색, 체널추가
▷ 유튜브 : 전북경제(이상선 기자)를 구독해주세요!

배너

관련기사

91건의 관련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