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4 (일)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후원하기

경제

출력 제어' 논리에 전북 ESS 사업 '올스톱'…수조원대 투자 기회 상실 위기

전북, 전력계통 필수시설 부담에도 ESS 사업 배제
전남과 ESS 입찰 경쟁서 출력제어 평가로 불이익

(경제=전북경제) 이상선 기자 = 전북이 전력 수급 안정화를 위한 에너지 저장장치(ESS) 구축 사업에서 전남에 밀려 막대한 투자 유치 기회를 놓쳤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는 전북이 전력계통 시설을 집중적으로 운영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ESS 사업에서 '출력제어' 항목의 불리한 평가를 받았기 때문이다.

 

최근 전력거래소의 '2025년 1차 ESS 중앙계약시장' 공모 결과, 총 1조 5000억원 규모의 육지 사업지 7곳이 전부 전남으로 선정됐다.

 

출력제어 수준 평가에서 전남은 만점을 받았으나, 전북은 낮은 점수에 그쳐 ESS 사업에서 탈락했다. 전북은 출력제어 횟수가 적어 ESS 설치 필요성이 낮게 평가된 것이다.

 

문제는 전북이 전력계통의 핵심인 송전선로와 변전소를 운영하며 수도권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로 인해 전북은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ESS 사업에서 오히려 불이익을 받고 있다. 전북의 이러한 불이익은 앞으로 진행될 ESS 사업 입찰에서도 계속될 우려가 있다.

 

평가 방식이 개선되지 않는다면 전북은 앞으로도 수조 원대의 경제적 손실을 입을 가능성이 크다. 이에 따라 지역 정치권과 지자체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전력거래소는 "다음 2차 공모에서 출력제어가 적은 지역도 고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전북에너지 업계 관계자들은 "전북이 ESS 사업 수주를 위해 적극적인 관심과 행동을 보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 제보하기
▷ 이메일 : bmw1972@jjilnews.kr
▷ 카카오톡 : 'rototl56제보' 검색, 체널추가
▷ 유튜브 : 전북경제(이상선 기자)를 구독해주세요!

배너

관련기사

91건의 관련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