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2 (토)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후원하기

전북의 관급공사, 더는 외지업체의 ‘놀이터’가 되어선 안 된다

(전북경제) 조계철 기자 =전북의 관급공사가 외지업체에 잠식당하고 있다.

 

정작 공사는 우리 지역에서 이루어지지만, 실질적인 수익과 일자리는 외지 대형건설사들이 가져간다. 현장의 소음과 불편은 전북도민이 감당하지만, 그 결과물은 지역경제와 무관하다는 것은 도무지 납득할 수 없는 현실이다.

 

지역업체들은 번번이 하청의 하청으로 밀려나며 기술력 축적과 자생력 확보의 기회를 박탈당하고 있다. 젊은 인력은 떠나고, 건설업계는 점점 쇠락의 길로 접어들고 있다. 이러한 구조적 왜곡은 단순한 수주 경쟁의 문제가 아닌, 지역균형발전과 정의로운 경제질서의 붕괴를 의미한다.

 

이제 지역 보호는 선택이 아니다. 전북 건설업의 생존 문제이고, 지역경제의 숨통을 터주는 유일한 길이다. 지역 하도급률 의무화, 외지업체와의 공동도급 강제, 지역자재·인력 사용 조건 명문화, 적용 가능한 용적률 인센티브 조례의 조기 정착 등이 반드시 필요한 시점이다.

 

말뿐인 “상생”은 더 이상 허용되어선 안 된다. 공정한 시장, 균등한 기회, 그리고 지역의 정당한 권리를 지키려는 정책적 결단이 필요하다. 전북이 스스로 자립 기반을 구축하지 않는 한, 타지역이 대신해줄 일은 결코 없다.

 

‘값싸기보단 공정하게, 따돌림보단 동반성장으로.’ 지금이 바로, 전북 건설산업의 체질을 바꾸고, 진짜 특별자치도의 이름에 걸맞은 자존을 되찾아야 할 때다.

 

■ 제보하기
▷ 이메일 : bmw1972@jjilnews.kr
▷ 카카오톡 : 'rototl56제보' 검색, 체널추가
▷ 유튜브 : 전북경제(이상선 기자)를 구독해주세요!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