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주·완주=전북경제) 박철의 기자 = 전주와 완주 간의 행정통합 논의가 여전히 절차와 재정 문제 등 여러 쟁점에서 이견이 표출됐다.
지난 5일 KBS 1TV 전주방송총국에서 열린 생방송 심층토론 '완주·전주 상생의 길 단체장에게 묻다'에 참석한 우범기 전주시장과 유희태 완주군수는 통합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공감했지만, 세부적인 문제에서는 합의를 이루지 못했다.
우범기 전주시장은 "주민 건의로 시작된 통합 논의인 만큼 주민투표가 가장 정당한 절차"라고 주장했다.
반면, 유희태 완주군수는 "먼저 여론조사를 통해 군민의 의견을 확인해야 한다"며, "부정적 여론이 높은 상황에서는 주민투표가 무의미하다"고 반대했다.
상생발전사업의 신뢰성 문제도 논쟁의 중심에 있었다.
우 시장은 "국가 특별법과 조례를 통해 실현 가능한 계획"이라고 강조했으나, 유 군수는 "완주군과의 협의 없이 민간 주도로 마련된 사업이라며 이를 신뢰할 수 없다"고 반박했다.
재정 문제 역시 양측의 입장이 엇갈렸다.
유 군수는 "전주시의 6000억원 규모 지방채로 인해 통합 시 교부세 감소와 재정 부담이 우려된다"고 지적했으나, 우 시장은 "대부분의 채무가 도시공원 등 자산 확보를 위한 투자성 채무로 재정 건전성에 문제가 없다"고 주장했다.
행정청사 위치에 대한 논의에서도 의견 차이가 있었다.
유 군수는 "전주시청을 도청 청사로 이전하고 현 도청을 만경강 인근으로 이전해 전주시청 부지를 문화예술 거점으로 활용하자고 제안"했지만, 우 시장은 "완주군민 주민투표로 통합 시청사를 결정하자는 입장을 내놓으며 삼봉지구를 중심으로 한 통합 구상"을 지지했다.
이번 토론은 통합의 필요성에는 동의했으나 구체적인 절차와 재정 문제 등에서 합의를 이루지 못한 채 마무리됐다.
양측의 간극을 좁히기 위한 추가 공론화 과정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