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0 (월)

  • 흐림서울 16.5℃
  • 흐림군산 20.4℃
  • 흐림전주 23.2℃
  • 구름많음고창 23.2℃
  • 흐림부안 21.7℃
  • 흐림임실 21.0℃
  • 흐림정읍 23.6℃
  • 구름많음남원 22.4℃
  • 구름많음장수 21.2℃
  • 구름많음순창군 22.6℃
기상청 제공
후원하기

오피니언

전주시 컨벤션센터건립공사 관급자재 ‘밀실 특혜"시민을 기만한 권력형 행정 의 민낯 전주시 공무원의 책임을 엄정한 추궁으로 따져야 한다.

 

(전북경제) 조계철 기자 =총사업비 3천억 원이 투입되는 전주시 컨벤션센터 건립 사업에서 관급자재 납품 업체가 공고 한 번 없이 내부 심의로 결정됐다는 사실은 충격적이다. 지역 경제를 살리겠다던 전주시의 약속은 온데간데없고, 특정 외부업체에게 특혜를 안겨준 듯한 행정이 자리하고 있다.
이쯤 되면 단순한 절차 미비로 치부할 일이 아니다. 시장의 정무적 판단 결여고위공무원 수준에서 지시와 묵인이 있었던 것 아니냐는 근본적 의문이 제기된다.

 

이번 사안의 핵심은 투명성과 공정성의 붕괴다. 공고도, 선정절차 공개도 없이 전주시 내부 회의만으로 관급자재 업체를 결정한 것은 명백한 밀실 행정이며, 행정 편의로 포장된 권력형 특혜에 가깝다.

 

특히 선정된 업체가 전북 지역 기업도 아니고, 동종 사업 실적조차 미비한 사실이 드러났다면 그 배경에 누가, 어떤 결정 과정을 거쳤는지 철저히 밝혀야 한다.
이런 행위가 사실이라면 이는 단순 행정착오가 아니라 특정 업체를 염두에 둔 조직적 배제와 지시의 결과로 봐야 할 것이다.지역경제를 외면한 이번 결정은 시정의 근간을 흔드는 일이다.

 

수년간 지역 건설업계와 제조업체가 어렵다고 하소연해온 현실에서, 지역기업을 철저히 배제한 행정은 배신 그 자체다. 시민의 세금을 재원으로 진행되는 대형 공공사업이 지역사회 환원은커녕 외부업체 잔치로 변질된 것에 시장은 응분의 책임을 져야 한다.

 

더구나 전주시는 이번 사업을 지역경제 활성화의 핵심 사업으로 홍보해왔다. 그러나 실제로는 관급자재 선정조차 시민 몰래 처리하는 ‘폐쇄 행정’으로 일관했다. 변명으로 일관하거나 하급 실무진에 책임을 전가한다면, 이는 행정 신뢰의 완전한 붕괴를 의미한다.

 

공개 입찰과 경쟁이라는 기본 원칙을 의도적으로 무시한 이유가 규명돼야 한다.지금 필요한 것은 ‘해명’이 아니라 책임 있는 조치다. 전주시는 즉각 업체 선정 전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관련 문서와 회의 기록을 전면 공개해야 한다. 동시에 해당 결정을 주도하거나 묵인한 고위 간부와 시장 본인의 관여 여부를 명백히 밝혀야 한다.

 

전주시민은 행정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되살릴 책임이 누구에게 있는지를 알고자 한다.만약 이번 사안이 사실이라면, 그것은 행정의 도덕적 파탄이며 전주시가 다시는 시민의 신뢰를 얻지 못할 중대한 사건으로 기록될 것이다.

 

 전주시는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다. 책임을 회피하지 말고, 모든 절차를 원점에서 재검증하고 관련자에 대한 엄정한 책임 추궁으로 답해야 한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