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7 (일)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후원하기

경제

한식연, 국산 밀 품질 데이터베이스 구축...밀 산업 새로운 도약

국산 밀 품질·가공 특성 정보 제공
국산 밀 수요 확대와 자급률 향상 목표

(한식연=전북경제) 이상선 기자 = 국산 밀의 품질과 가공 특성에 대한 종합적인 데이터베이스가 완성됐다.

 

한국식품연구원은 이번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해 국산 밀 생산단지와 수요기업에서 품질 관리와 제품 제조에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국내 밀은 단백질 함량과 글루텐 특성에 따라 사용 용도가 다르다. 따라서 객관적인 품질 데이터는 필수적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가공업계와 수요처가 필요로 하는 품질 데이터가 부족해 국산 밀의 수요를 제한하는 주요 장애요인으로 작용해왔다.

 

한식연은 국산 밀의 수요 확대와 자급률 향상을 위해 수확 후 관리 및 품질 관리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전국 산지에서 생산되는 국산 밀의 품질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품질과 가공적성의 상관관계를 연구해 제품 제조 단계에서 활용 가능한 현장 연구를 추진 중이다.

 

연구팀은 국산 밀 생산현장과 수요기업 등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정부보급종 3품종과 2021∼2024년산 국산 밀 원맥품질, 밀가루품질, 반죽품질, 제품품질 등 총 740점의 데이터셋을 구축했다.

 

이 데이터셋은 한식연의 식품데이터플랫폼에 공개됐으며, 전체 출연연의 연구데이터 공개 플랫폼인 DataON과도 연계돼 검색할 수 있다.

 

이번 데이터베이스 구축은 식품연 스마트제조연구단 김훈 박사 연구팀에 의해 진행됐다.

 

김훈 박사는 "국산 밀의 품질 데이터 부족으로 인해 생산현장의 품질 관리와 제품 개발에 어려움이 많았다"며, "이번 데이터베이스 구축으로 소비자들이 필요로 하는 제품 생산뿐 아니라 국산 밀의 객관적인 품질 관리와 품질 향상도 기대된다"고 전했다. 

 

■ 제보하기
▷ 전화 : 010-6886-5000
▷ 이메일 : bmw1972@jjilnews.kr
▷ 카카오톡 : 'rototl56제보' 검색, 체널추가
▷ 유튜브 : 전북경제(이상선 기자)를 구독해주세요!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