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www.lguplus.com)가 우리은행 방문하는 영유아 고객을 위해 키즈 전용 서비스 '아이들나라'를 무료로 제공한다. 해당 서비스는 LG유플러스와 우리은행이 진행하는 '배려-프리 캠페인'의 일환으로, 우리은행에 설치된 배려프리석에서 시청할 수 있다. '배려-프리 캠페인'이란 사회적 약자를 위한 장벽 없애기 운동이라는 뜻을 가진 배리어 프리에서 착안한 명칭으로 장애인, 고령자, 임산부, 영유아 등 금융 취약계층에게 편리한 금융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활동이다. LG유플러스와 우리은행은 금융 취약계층 중 영유아 고객을 위해 '맘편한 우리 아이들' 서비스를 제공한다. 맘편한 우리 아이들은 우리은행에 방문하는 영유아 고객이라면 누구나 배려프리석에 비치된 태블릿 PC로 아이들나라를 무료로 시청 가능한 서비스다. 아이들나라는 LG유플러스의 키즈 전용 서비스로 태블릿 PC뿐만 아니라 LG유플러스 IPTV 'U+tv', 모바일, 스마트 TV로 7만 편의 독서, 학습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영유아 고객이 아이들나라를 시청하는 동안, 부모는 돌봄 부담 없이 편리하게 금융 업무를 처리할 수 있어, 영유아 동반 고객의 편의성도 증진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아이
(전북경제) 김원중 기자 = 전주시와 전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은 첨단 디지털 문화 콘텐츠 사업을 이끌어갈 ‘전주형 메타버스 얼라이언스’를 모집한다고 15일 밝혔다. 이 사업은 덕진권역 활성화와 XR(eXtended Reality, 확장 현실)·메타버스 기반 기술 융합 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추진한다. 얼라이언스는 △라이프 분야(문화·생활 서비스) △지역 현안 해결 분야(일자리·도시문제 대응)를 주축으로 지역 기업과 수도권 협력사, XR기술 공급·수요기업, 공공기관, 지역 주민 등으로 구성할 예정이다. 각 프로젝트 별로 4개 내외 기업·기관이 자율적으로 참여해 기획안을 발굴·발표하며, 시와 진흥원은 국가 예산 공모사업과 연계될 수 있는 실행 모델을 도출할 예정이다. 참여를 원하는 기업·단체는 진흥원 누리집(www.jica.or.kr)에 게시된 공고문과 첨부 양식을 확인해 오는 22일까지 온라인으로 신청하면 된다. 최종 선발된 얼라이언스 프로젝트 그룹은 9월과 10월 최종기획안 발표 후 11월부터 국가 예산 확보 활동에 참여하게 된다. 우수 과제로 선정되면 향후 가상 융합산업 지원사업에서 가산점을 받을 수 있다. 선정된 과제는 향후 국책과제 지원과 지역 연계사업으로
LG유플러스(www.lguplus.com)가 자체 송출 시스템으로 삼성전자 스마트 TV 플랫폼인 '삼성 TV 플러스'에 FAST 채널 12개를 공급한다. 9월부터 시청 가능한 채널은 ▲JTBC ▲JTBC2 ▲JTBC4 ▲MBN ▲한국경제TV ▲연합뉴스경제TV ▲매일경제TV ▲MTN 머니투데이방송 ▲캐리TV ▲더라이프2 ▲K바둑 ▲아리랑TV 등 총 12개 채널로, 올해 내 순차적으로 시청 가능하다. FAST(Free Ad-supported Streaming TV)는 개방형 OS가 탑재된 스마트 TV에서 구독 요금이나 시청료 없이 미디어 콘텐츠를 볼 수 있는 서비스다. IPTV, 케이블 TV 등 유료 방송, OTT와는 달리 스마트 TV와 인터넷만 있다면 광고를 시청하면서 원하는 콘텐츠를 볼 수 있다. LG유플러스는 LG전자 스마트 TV 플랫폼인 LG Channels와 삼성 TV 플러스에 FAST 채널을 직접 송출함으로써, 더 많은 시청자와의 접점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 삼성 TV플러스는 전 세계 30개국에서 약 3,500개 채널과 6만 6천여 편의 VOD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 특히, LG유플러스는 자체 송출 시스템으로 FAST 채널을 직접 운영해 콘텐츠를
타이베이 2025년 9월 12일 /PRNewswire=연합뉴스/ -- 세계적인 컴퓨터 브랜드 기가바이트(GIGABYTE)가 오늘 기가바이트 이벤트(GIGABYTE EVENT)에서 차세대 AI 비전 'BEYOND EDGE'를 공개했다. 컴퓨텍스(COMPUTEX)에서 선보였던 LEADING EDGE의 성과를 기반으로 한 이번 새로운 비전은 '경계를 넘어서(Beyond Boundaries)', '기기를 넘어서(Beyond the Device)', '성능을 넘어서(Beyond Performance)'를 핵심 가치로 삼고 있다. AI 지원 플랫폼, AI 기반 외장 GPU, AI 게이밍 노트북, 마더보드 , 시스템 등 일상 컴퓨팅 전반에 인공지능을 접목한 혁신을 제시한다. Beyond Boundaries: 엣지에서 확장 가능한 AI 실현 AI TOP 에코시스템은 확장 가능한 하드웨어와 AI TOPAI TOP 유틸리티 소프트웨어를 결합해, Mixture of Experts(MoE)와 같은 첨단 아키텍처를 지원한다. AI TOPAI TOP 100 및 AI TOPAI TOP 500을 포함하는 이 통합 솔루션은 개발자, 연구원 및 기업이 최대 6850억 개 파라미터 규모의 대
SPC그룹이 미국의 대표 멕시칸 푸드 브랜드 '치폴레(Chipotle)'를 아시아 최초로 국내에 도입한다. SPC그룹 계열사 빅바이트컴퍼니는 '치폴레 멕시칸 그릴(Chipotle Mexican Grill, Inc. 이하 치폴레)'과 합작 법인(S&C Restaurants Holdings Pte. Ltd.)을 설립하고, 한국과 싱가포르 내 독점 운영권을 확보했다. 치폴레가 합작법인 설립을 통해 해외 진출을 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치폴레는 많은 글로벌 브랜드를 도입해 성장시킨 SPC그룹을 아시아 시장 진출을 위한 최적의 파트너로 선정했다. 빅바이트컴퍼니는 내년 서울 및 싱가포르에 1호점을 열 계획이다. 1993년 미국에서 시작된 치폴레는 부리토(Burrito)·부리토 볼(Bowl) 타코(Taco)·퀘사디아(Quesadilla) 등 멕시코 전통 요리를 현대적 감각으로 선보이는 패스트캐주얼(Fast Casual) 브랜드다. 색소·향·보존료를 배제하고 신선한 재료를 매장에서 매일 조리하는 '진정성 있는 음식(Food with Integrity)'을 표방한다. 고객이 취향에 따라 다양한 토핑을 추가할 수 있는 커스터마이징 서비스가 특징이다. 미국 젊은 세대들의 폭
(전북경제) 김원중 기자 = JB금융그룹 전북은행이 보호시설에서 사회로 나서는 자립준비 청년들의 안정적인 사회 정착을 돕기 위해 나섰다. 전주시와 전북은행, 전북특별자치도자립전담기관, 전주시복지재단은 10일 전주시장실에서 ‘전주 자립준비 청년 JB 희망의 학습멘토링’ 지원을 위한 후원금 전달식을 가졌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에는 우범기 전주시장과 백종일 은행장, 오현권 부행장, 김경환 관장, 윤방섭 이사장 등이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전북은행은 이 자리에서 2억 7,000만 원의 후원금을 기탁했으며, 시는 전북자립지원전담기관과 협력해 이 후원금을 자립준비 청년의 학습·정서·생활 전반을 아우르는 맞춤형 지원을 하겠다는 방침이다. ‘JB희망의 학습멘토링’은 전북자립준비전담기관이 주도해 자립준비청년 30명을 학습 돌봄 멘토로 선발, 8개월간 장학금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청년 멘토들은 지역아동센터 및 시설보호아동 30명과 1:1로 매칭돼 학습지도와 함께 정서 지원을 돕게 된다. 시는 이 사업으로 청년들에겐 8개월간 월 100만 원 상당의 장학금과 사회적 역량 강화의 기회를 제공하고, 지도 아동들에겐 학습 능력 향상과 멘토와의 교류로 안정적인 정서 유지가 이뤄질 것을
(전북경제) 김원중 기자 = 전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이 AI·가상융합산업 분야의 미래 산업을 이끌어갈 지역 청년을 찾고 있다. 진흥원은 오는 21일까지 지역의 미래산업을 선도할 청년들의 창업 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청년 거버넌스 참여단’을 공개 모집한다고 9일 밝혔다. 진흥원 산하 전북메타버스지원센터의 주관으로 활동하게 될 참여단은 청년 멘토와 연계해 AI·가상융합산업 분야에서 창업 아이디어를 발굴할 예정이다. 이에 더해 온·오프라인을 가리지 않는 전방위 지원으로 창업 희망 청년의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고자 한다. 청년 거버넌스 참여단은 도내에 거주하는 청년(18세~39세)이면 누구나 지원할 수 있다. 참가를 원하면 진흥원 누리집(www.jica.or.kr)에 게시된 공고문과 첨부 양식을 확인하고 온라인 네이버폼을 통해 신청하면 된다. 서류 및 면접 평가를 거쳐 최종 선발된 참여단은 5인으로 구성한 팀 단위로 활동하게 된다. 각 팀은 산업 현장 경험이 풍부한 멘토와 매칭돼 구체적인 창업 아이디어 기획과 실행에 대해 교육받을 예정이다. 세부 활동은 크게 9월부터 11월까지 총 3회차로 진행한다. 주요 프로그램은 △AI 특강 △지역 문화자원을 활용한 콘텐츠 기획 실습
(전북경제) 김원중 기자 = 전주시가 아동·청소년의 금융 역량 강화를 위한 체험형 금융교육 ‘함께 금융인재 탐험대’를 본격 가동했다. 시는 8일 전주중인초등학교에서 첫 프로그램을 진행했으며, 오는 12월까지 전주지역 11개 초·중학교 20개 학급, 총 439명을 대상으로 순차 운영한다고 밝혔다. 사업은 전주시와 전국투자자교육협의회, 전주교육통합지원센터가 협업해 추진하며, 한국금융인재개발원 전문 강사가 직접 학교를 방문해 강의와 체험을 결합한 맞춤형 교육을 제공한다. 대상에 따라 콘텐츠를 차별화해 학령 단계별 체계적 금융소양을 높이는 데 초점을 맞췄다. 초등학생 과정은 화폐 이해와 용돈 관리, 저축과 투자 개념을 주제로 카드·보드게임 등을 활용한 금융 체험활동을 제공한다. 중학생 과정은 ‘청소년을 위한 금융투자 상식’을 주제로 금융투자 상품과 회사 구조 이해, 모의 금융투자 체험을 통해 실전 감각과 기초 투자문해력을 기를 수 있도록 구성됐다. 시는 프로그램을 이수한 학교 중 1곳을 선정해 ‘함께 금융인재 박람회’를 개최한다. 박람회에서는 금융투자 테스트와 부스별 체험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이 배운 금융 지식을 종합적으로 점검하고 스스로 학습 수준을 진단할 수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건국대학교(총장 원종필)와 8일 건국대학교에서 이승돈 청장과 원종필 총장을 비롯해 양 기관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치유농업 발전과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건국대 ‘디지털 인문 기반 치유농업 융합연구센터’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집단연구지원사업(2025~2030년)’에 선정된 것을 계기로 농촌진흥청에 협력을 제안해 추진됐다. 양 기관은 치유농업 분야에서 △과학적 효과 검증 연구 △표준 프로그램 개발 및 확대 △정책 개선 및 제도적 기반 마련 △전문 인력 양성 △공동 홍보 및 확산 기반 조성 등에 협력할 계획이다. 아울러 관학의 연구·기술 역량을 모아 농업·인문학·생명공학·의학이 융합된 치유농업 분야 연구개발에 정진할 예정이다. 이승돈 농촌진흥청장은 “이번 업무협약 체결로 치유농업의 외연을 넓히고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며, “앞으로 인문학과 디지털 기술이 융합된 치유농업이 국민 건강 증진과 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도록, 관학이 긴밀히 협력하고 실질적 성과 도출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원종필 건국대학교 총장은 “건국대는 1946년 개교 이래 농업 교육과 연구를 대학의 뿌리로
전북농협(본부장 이정환)은 전주원예농협(조합장 임종경)과 함께 5일 전주원예농협 관내에서 생산된 2025년산 햇배를 베트남에 수출하고 이를 기념하기 위한 선적식을 가졌다. 선적식에는 전주시농업기술센터 소장(강세권), 전주원예농협 배 공선회장(강성열)을 비롯해 주요 관계자 약 10여명이 참석하여 수출 성과를 함께 축하했다. 베트남은 기후 특성상 자체 배 재배가 불가능하여 사실상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최근 중국산 저가 배와 한국산 배의 동남아 시장 내 경쟁이 심화되고 있으며 이 가운데 품질 좋은 전북산 배의 수출을 통해 안전성과 품질을 강조하고 ‘프리미엄 과일’로서 차별화된 입지를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에 전주원예농협에서 수출되는 배는 총 16.2톤으로 약 60백만원 규모이며 베트남 호치민·하노이 등 주요도시에 공급될 예정이다. 향후 200톤을 태국, 인도네시아, 대만 등 동남아시아 주요 국가로 추가 수출하여 중국산 과일과의 경쟁 우위를 가져오고 전북산 배 수출 확대의 초석을 마련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주원예농협 임종경 조합장은 “이번 베트남 수출은 우리 조합과 농가들이 힘을 모아 이룬 값진 성과”라며 “앞으로도 농업인의 땀과 정성이 담긴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 국립원예특작과학원은 9월 9~10일 전북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자원식물연구소(진안)에서 ‘2025년 특용작물 기능성·이용 분야 중앙지방연구협의체 공동연수(워크숍)’를 연다. 이번 행사는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 농업기술원 지역특화연구소 등 14개 중앙·지방 연구기관이 한자리에 모여 특용작물을 지역특화작목으로 육성하고, 고부가가치 기능성 소재로 개발하기 위한 활성화 방안을 논의하고자 마련했다. 1부에서는 지역특화작목 산업화 사례로 전북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김창수 박사가 ‘천마 등 지역특화작목 육성 우수 사례’에 대해 발표한다. 전북은 지역특화 전략작목으로 천마를 육성하기 위해 농촌진흥청, 대학 등과 긴밀히 협업하고 있다. 이를 통해 천마의 항비만, 인지능력 개선 등 지식재산권을 확보하고, 기술 이전과 제품화에 힘쓰고 있다. 최신 연구 동향으로는 전주농생명소재연구원 정찬헌 팀장이 ‘지역특화작목 활용 건강기능식품 개발 현황’, 상명대학교 정대식 교수가 ‘인공지능 기반의 천연물 분석과 효능 예측 프로그램 활용’에 대해 각각 발표한다. 2부에서는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의 2026년 신규 공동연구사업 기획안을 공유하고, 지역특화작목을 활용한 녹색
SK텔레콤(대표이사 CEO 유영상, www.sktelecom.com)은 글로벌 일정 공유 플랫폼기업 타임트리(대표이사 박차진, 후카가와 야스토, https://timetreeapp.com)와 AI 에이전트 서비스 개발을 위한 협력에 나선다고 8일 밝혔다. 타임트리는 2014년 일본에서 설립된 스타트업으로, 동명의 일정 공유 플랫폼 앱(App) 타임트리(TimeTree)를 운영하는 기업이다. 타임트리 앱은 전 세계 약 6,700만명의 사용자를 보유하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서비스로, 일본 내에서도 '제2의 라인'으로 주목받고 있다. SKT는 지난 5일 일본 도쿄에서 타임트리와 양사 협력을 위한 투자 계약 및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먼저, SKT는 타임트리에 22억엔을 투자한다. SKT는 타임트리 투자를 통해 한국에서 일본으로 AI 에이전트 서비스 생태계를 확대하고, 일본 AI에이전트 시장에서의 선도적 입지를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일본은 최근 AI 산업이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시장으로, SKT는 일본 진출을 통해 자사 AI 에이전트 서비스의 기반을 넓히고, 나아가 글로벌 AI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이번
남원축협은 8월 27일, 남원시 조산동 통합센터 예정부지(조산동 461번지)에서 금융, 농축산물 판매·유통, 문화행사 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할 통합시설(건축면적 3,110㎡, 지상 2층, `26년 준공예정) 기공식을 개최했다. 이날 기공식에는 축협 전북도지회, 지역 조합장, 남원시의회 의장 및 의원, 남원시장 등이 참석해 안전한 시공을 기원하는 축사와 시삽식을 함께진행하며, 서부권 상권 형성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대한 기대를 담아 축하의 뜻을 전하였다. 남원축협 한경석 조합장은 기공식에서 “조합과 농가의 이익 창출, 우수 농산물 유통·물류의 확대를 통해 지역 경제 활성화의 기본에 충실하면서, 통합센터 인접 지역의 상권 구축과 활력 제고에 기여하겠다”고 밝히며, “시민 모두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주는 종합 생활 경제 거점으로 자리매김하도록 하겠다”고 소신을 전했다. /박철의 기자
중소벤처기업부 전북지방중소벤처기업청(청장 전세희)은 AI 기술을 도입 및 활용하여 우수한 경영성과를 달성한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이하 중소기업)의 사례를 발굴·전파함으로써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AI 전환을 확산하기 위해, 참가 중소기업을 9월 18일까지 모집한다고 밝혔다. AI 도입으로 생산성 향상, 매출액 증가 등 경영 혁신 성과를 달성한 중소기업은 13개 지방중소벤처기업청(이하 지방청)의 관할구역을 확인 후 해당 지방청 담당자 이메일로 공모신청한다, 전북지역의 참여를 희망하는 기업들은 전북지방중소벤처기업청에 신청자격 자가진단, 우수사례, 서약서, 증빙자료 등을 확인하여 접수하면 된다. 이번 공모전에는 중소기업 외에도 AI 도입을 통한 매출신장 등 경영 개선을 이룬 소상공인들도 참여가 가능하며, AI 도입기업 단독 신청뿐만아니라 도입기업에 AI기술을 공급한 기업과 컨소시업으로도 신청이 가능하다. 예선전(9.19~9.30)은 지방청에서 서류심사를 통해 우수사례의 충실성, 혁신성, 도입성과, 확장 및 지속 가능성 등을 평가하여, 전북 지역에서는 2개 기업을 본선(10월)에 추천한다. 본선 심사(10.13~10.31)는 발표평가를 통해 대상 1개, 최우수상 3개,
전북특별자치도는 지난달 29일 전북경제통상진흥원 창의실에서 경제부지사 주재로 ‘중추기업 전담제 현장방문 결과 소통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는 중추기업 전담제 시행 이후 도내 주요 기업 현장을 방문해온 전담기관 관계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운영 성과를 공유하고 기업의 애로사항을 종합적으로 점검하기 위해 마련됐다. 간담회에서는 기업 현장에서 제기된 다양한 건의사항이 논의됐다. 주요 의견으로는 △출퇴근 시간 교통체증 해소를 위한 도로 확장 △스쿨존 교통안전시설 점검 △숙련기술자 및 신규 인력 채용난 등이 제시됐다. 또 △판로 확보 지원 △수출 경쟁력 강화 △기숙사 임차 지원 확대 등 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제안도 이어졌다. 전담자들은 기업 현장의 애로사항을 제도적으로 지원할 필요성에 공감하며 유관기관 간 협력과 역할 분담을 통해 현안 해결을 신속히 추진해 나가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김종훈 경제부지사는 “중추기업 전담제가 기업의 위기 대응과 성장 지원의 든든한 제도적 장치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현장의 의견을 제도 개선에 충실히 반영하겠다”며 “도내 기업들이 안심하고 경영에 전념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을 위해 지속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