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3 (목)

  • 흐림서울 16.5℃
  • 흐림군산 20.4℃
  • 흐림전주 23.2℃
  • 구름많음고창 23.2℃
  • 흐림부안 21.7℃
  • 흐림임실 21.0℃
  • 흐림정읍 23.6℃
  • 구름많음남원 22.4℃
  • 구름많음장수 21.2℃
  • 구름많음순창군 22.6℃
기상청 제공
후원하기

오피니언

도시의 상징인가, 허상의 탑인가 — 자광타워사업, 냉정한 재검토가 필요하다.

 

(전북경제) 조계철 기자 =전주 대한방직 부지에 추진 중인 자광의 470m 타워 개발사업은 ‘도시 상징성’이라는 미명 아래 추진되는 위험한 베팅에 가깝다. 공사비만 6천억~7천억 원이 예상되고, 인천 청라시티타워처럼 수년간 표류할 가능성도 있다.

 

인천 LH가 추진한 시티타워조차 7천억 원대의 공사비와 연간 100억 원이 넘는 운영비 부담으로 재정 위기를 겪었고, 손익 불균형을 이유로 여러 차례 사업이 중단됐다. 공공기관인 LH도 버티지 못한 사업을 자광 같은 중소 민간업체가 감당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더구나 전주 상업용 부동산 시장은 수도권과 구조적으로 다르다. 공실률이 높고 수익률이 낮아, 관광 상징시설만으로 운영비를 충당하기 어렵다. 2025년 1분기 기준 전국 상가 공실률은 13.2%, 수익률은 1.5~1.8%에 머물고 있다. 청라시티타워가 ‘공공적 적자 모델’로 전락한 현실을 고려하면, 자광타워의 재정적 지속가능성은 더욱 불투명하다.

 

자광이 제시한 470m 타워와 호텔, 복합쇼핑몰, 3천 세대가 넘는 주상복합 등의 복합개발 구상은 규모 면에서는 야심차지만, 공공기여금만 3,800억 원에 달해 이미 자금조달 구조가 한계에 부딪혔다. 청라의 LH도 2조 원대 개발이익을 거두고도 재정 부담을 이유로 재투자를 꺼렸던 점을 떠올리면, 민간 차입에 의존한 이 사업은 도시 발전이 아니라 도시 리스크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문제는 이 사업이 도시의 실질적 이익보다 ‘랜드마크 이미지’에 집착한 허상 프로젝트로 보인다는 점이다. 수익성과 공공성이 검증되지 않은 상태에서 착공을 서두른다면, 청라시티타워가 겪은 예산 폭등과 운영적자의 악순환이 전주에서 되풀이될 수 있다.

 

전주는 지금 화려한 조형물의 상징성보다 재정의 지속가능성과 시민 삶의 실질적 효용을 우선해야 한다. 도시의 품격은 높이가 아니라 내실에서 나온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