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어촌공사=전북경제) 이상선 기자 = 전북자치도가 농촌의 소멸 위기와 난개발 문제에 대응키위한 농촌공간 재구조화에 본격 나섰다. 이를 위해 한국농어촌공사 전북지역본부가 '전북 농촌공간광역지원기관'으로 지정되면서 공사는 농촌공간 재구조화 및 재생에 관한 법률에 근거해 운영할 수 있게 됐다. 전북 광역지원기관은 지난 18일 농촌공간계획 분야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전북 지역협의체'와 함께 농촌공간 재구조화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자문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는 장수군, 남원시, 임실군 등 3개 시군을 대상으로 한 기본계획 수립에 실질적인 자문을 제공하기 위한 첫 공식 활동으로, 농촌공간 재구조화에 관한 다양한 주제를 논의했다. 회의에서는 새 정부의 농정 방향, 전북자치도의 특례지구 지정과의 연계성, 재생활성화지역 지정 시 부문 간 시너지 창출 전략 등이 중점적으로 다뤄졌다. 또한, 지역별 특성에 부합하는 농촌특화지구 지정방안과 농촌마을보호지구, 축산지구, 농촌융복합산업지구 등 세부 지정 유형에 대한 전문가 자문도 함께 이뤄졌다. 전북 지역협의체는 총 25명의 관련 분야 전문가들로 구성돼 있으며, 전북 13개 시군이 추진 중인 농촌공간 재구조화 기본계획 및 시행계
(경제=전북제일) 이상선 기자 = 농어촌공사와 전북연구원이 농촌공간 정책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농어촌공사 전북지역본부는 지난해 농림축산식품부의 「농촌공간 재구조화 및 재생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광역지원기관'으로 지정받아, 정부의 농촌정책이 시·군 단위에 체계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전북연구원은 전북자치도 및 14개 시·군의 지역발전을 위한 체계적인 정책 연구를 수행하며, 농촌 경제·사회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교육훈련기관으로 지정된 바 있다. 이번 협약을 통해 두 기관은 농촌공간 재구조화·재생계획 제도의 성공적인 정착과 신규사업 발굴의 기반을 마련할 예정이다. 협약의 주요 내용은 농촌 지역개발 전문가 육성·교육프로그램 개발, 농촌소멸 대응을 위한 정책연구와 신규사업 발굴 네트워크 강화, 광역지원기관 업무 협업체계 구축 등이다. 이를 통해 전북자치도와 14개 시·군의 지속 가능한 농촌 발전을 위한 협력체계를 공고히 할 방침이다. 김동인 전북지역본부장은 "이번 협약이 농촌공간 재구조화 및 재생계획 제도의 성공적 안착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며, 전북지역의 체계적인 농촌발전 정책 추진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이남호 전북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