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전북제일) 안재용 기자 = 전북도가 오는 8월부터 시내버스 요금을 1700원으로 인상할 계획을 발표하자 시민들 사이에서는 요금 인상이 과도하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높다
특히, 이번 인상은 전북도청 소재지를 포함한 국내 주요 광역시보다 높은 수준으로, 도민들의 경제적 부담이 가중될 것으로 예상된다. 전북도는 요금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전북도는 도내 14개 시군의 시내·농어촌버스 요금을 일제히 200원 인상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전주 시내버스 요금은 인상 후 국내 도청 소재지 중 가장 높은 수준이 될 전망이다.
이와 관련해 전북도는 "요금 인상이 불가피했으며, 교통약자와 서민층의 부담을 줄이기 위한 실질적인 지원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러한 지원책에는 알뜰교통카드 확대와 무임승차 제도 강화 등이 포함될 예정이다.
그러나 전북도는 요금 조정이 불가피했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도 관계자는 "그간 다른 지역에서는 1~3회의 요금 조정이 있었던 반면, 전북은 4년 동안 동결했다"며 "타 지자체의 인상 추이와 서민 부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1안을 최종 선택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