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관원=전북경제) 이상선 기자 = 농림축산검역본부가 ㈜메디안디노스틱과 함께 국내 최초로 반려동물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신속 항원 진단키트를 공동개발해 출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출시로 동물병원에서 반려동물의 SFTS 감염 여부를 신속히 진단할 수 있게 됐다. SFTS는 참진드기가 매개하는 바이러스성 인수공통전염병으로, 주요 증상으로는 발열, 구토, 설사 등이 있다. 2013년 국내에서 처음 환자가 발생한 이후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동물병원 종사자가 반려동물로부터 감염된 사례가 보고되어 반려동물의 신속한 진단 필요성이 커졌다. 기존의 SFTS 진단 방법은 시료를 채취해 실험실로 이송, 4시간 정도 소요되는 유전자 진단 검사를 거쳐야 했다. 하지만 새로 개발된 신속 항원 진단키트를 사용하면 실험실 이송없이 현장에서 15분 내외로 감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김정희 농림축산검역본부장은 "이번에 개발된 신속 항원 진단키트를 통해 동물 보건 증진 및 인체 감염 차단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도 민간과의 공동개발 등 연구 협력을 지속하여 가축전염병 및 인수공통감염병에 대한 대응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경제=전북제일) 이상선 기자 = 농촌진흥청이 과수화상병 확산을 막기 위해 신속한 진단과 방제 체계를 강조하고 나섰다. 권재한 농진청장은 전국 6개 병해충 정밀 검사기관에 현행 진단과 확진 체계를 유지할 것을 주문했다. 이를 통해 과수화상병의 확산을 차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지난 4월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경북 농업기술원을 병해충 정밀 검사기관으로 지정하고, 과수화상병 현장진단실 운영을 지원 중이다. 이곳에서는 시군농업기술센터가 간이 검사한 의심 시료를 재진단하여 확진을 내리며, 신속한 방제를 유도하고 있다. 권 청장은 충북농업기술원을 방문해 도내 11개 시군의 과수화상병 예찰 및 방제 현황을 점검했다. 또한, 미발생 지역의 과수 농가를 대상으로 한 현장 지도와 홍보 활동의 강화를 주문했다. 기존 발생지 반경 2km 이내를 상시 예찰하며, 가용 인력과 장비를 최대한 신속히 투입해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올해 첫 과수화상병 확진 사례는 지난 5월12일 충북 충주에서 보고됐으며, 현재까지 21개 시군에서 발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