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전북경제) 이상선 기자 = 농촌진흥청은 7월21일부터 8월31일까지를 '주요 과수 탄저병 중점관리 기간'으로 설정하고, 사과, 복숭아, 단감 주산지인 5개 도, 20개 시군에서 예방관찰을 강화한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2023년 주요 과수 주산지에서 발생한 탄저병 피해에 대응키 위한 것으로, 중앙과 지방 농촌진흥기관이 병해충 대응 체계를 강화하고, 과수 농가와 함께 선제적 대응에 나선다. 올해 5월부터 7월 중순까지 주요 과수 주산지 65개 시군, 325개 관찰포의 탄저병 발생 상황을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지난해에 비해 경미한 수준을 유지했다. 이는 농가의 적극적인 예찰과 방제 노력, 7월 초순까지의 고온 건조한 날씨와 적은 강수량이 탄저병 발생에 불리한 환경을 조성한 결과로 추정된다. 그러나 최근 내린 폭우와 수확 시기까지의 고온다습한 날씨가 지속될 경우, 탄저병 확산 우려가 커져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 이번 중점관리 기간 동안 농진청은 관찰포를 325개소에서 430개소로 확대하고, 발생 조사 주기를 15일에서 7일로 단축해 보다 면밀한 상황 파악에 나선다. 지역별 탄저병 발생 상황에 맞는 방제 대책도 신속히 전달해 적시 방제를 유도할 방침
(농진청=전북제일) 이상선 기자 = 벼멸구가 지난해보다 빠르게 국내에 유입되면서 농촌진흥청은 전국의 벼 재배 농가들에게 철저한 사전 예방관찰과 방제를 촉구했다. 9일 농진청에 따르면 서해안과 전남지역 일부 논에서 벼멸구가 확인됐으며, 이는 6월17일부터 24일 사이에 날아온 것으로 밝혀졌다. 벼멸구는 중국 남부에서 발생해 편서풍을 타고 국내로 이동하는 해충으로, 벼 줄기에 붙어 즙을 빨아 먹어 피해가 심할 경우 수확량 감소와 품질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농진청은 벼멸구의 성충이 7월13일부터 15일 사이에 집중 발생할 것으로 예측했다. 특히, 최근 급격한 기온 상승으로 벼멸구의 세대 증식이 빨라질 것으로 우려돼 예년보다 방제 시기를 앞당겨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아시아 비래해충 예찰 협력사업'을 통해 중국 내 예찰포에서 확인된 바에 따르면 벼멸구 발생량은 작년 동기 대비 2배 이상 증가했다. 국내와 가까운 중국 강소성 지역에서는 애멸구 발생량이 3배 이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나, 철저한 사전 예찰과 적기 방제가 더욱 중요해졌다. 벼멸구 방제는 벼 재배지 내 발생 밀도를 기준으로 판단한다. 벼 포기당 2마리 이상의 약충 또는 성충이 보이면 방제 기준을 초과한